📑문제
지나다니는 길을 'O', 장애물을 'X'로 나타낸 직사각형 격자 모양의 공원에서 로봇 강아지가 산책을 하려합니다. 산책은 로봇 강아지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진행하며, 명령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집니다.
- ["방향 거리", "방향 거리" … ]
예를 들어 "E 5"는 로봇 강아지가 현재 위치에서 동쪽으로 5칸 이동했다는 의미입니다. 로봇 강아지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합니다.
-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원을 벗어나는지 확인합니다.
-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 중 장애물을 만나는지 확인합니다.
위 두 가지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로봇 강아지는 해당 명령을 무시하고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.
공원의 가로 길이가 W, 세로 길이가 H라고 할 때, 공원의 좌측 상단의 좌표는 (0, 0), 우측 하단의 좌표는 (H - 1, W - 1) 입니다.
공원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park,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이 담긴 문자열 배열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로봇 강아지가 모든 명령을 수행 후 놓인 위치를 [세로 방향 좌표, 가로 방향 좌표] 순으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3 ≤ park의 길이 ≤ 50
- 3 ≤ park[i]의 길이 ≤ 50
- park[i]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.
- S : 시작 지점
- O : 이동 가능한 통로
- X : 장애물
- park[i]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.
- park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.
- 3 ≤ park[i]의 길이 ≤ 50
- 1 ≤ routes의 길이 ≤ 50
- routes의 각 원소는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냅니다.
- 로봇 강아지는 routes의 첫 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.
- routes의 원소는 "op n"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, op는 이동할 방향, n은 이동할 칸의 수를 의미합니다.
-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N : 북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.
- S : 남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.
- W : 서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.
- E : 동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.
- 1 ≤ n ≤ 9
-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입출력 예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입력된 명령대로 동쪽으로 2칸, 남쪽으로 2칸, 서쪽으로 1칸 이동하면 [0,0] -> [0,2] -> [2,2] -> [2,1]이 됩니다.
입출력 예 #2
입력된 명령대로라면 동쪽으로 2칸, 남쪽으로 2칸, 서쪽으로 1칸 이동해야하지만 남쪽으로 2칸 이동할 때 장애물이 있는 칸을 지나기 때문에 해당 명령을 제외한 명령들만 따릅니다. 결과적으로는 [0,0] -> [0,2] -> [0,1]이 됩니다.
입출력 예 #3
처음 입력된 명령은 공원을 나가게 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명령 또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므로 두 입력은 제외한 세 번째 명령만 따르므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 [0,1] -> [0,0]
✏분석
- 시작지점부터 먼저 확인.
- 그 후 시작지점부터 지정된 위치까지의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.
- 장애물을 확인할 때에는 북(S), 서(W)는 마이너스로 고려하여 확인한다.
- 처음에 X, Y좌표라고 임의로 이름을 붙이고 로직을 짰는데, 사실 수학에서 배우는 X, Y 좌표와 지금 여기서 축이 되는 X, Y 가 완전히 반대이기 때문에 계속 헷갈렸다. 이것이 명명의 중요성… 계속 헷갈리고 개념이 뒤섞여서 또 틀리고 이래서 그냥 이름부터 갈아엎고 다시 했다.
🛠피드백
- 어찌어찌 코드 실행의 3개 테스트는 통과해서 제출했는데, 채점의 테스트 3, 8, 15에서 실패가 떴다. 왜~~~~~~~~~ 질문하기 게시판에서 파이썬 버전이지만 나랑 완전히 똑같은 케이스에서 실패한 사람의 질문을 확인. 늘 반례를 알려주는 그 분이 감사하게도 역시 반례를 보여주셨고, 나도 그 반례에서 기댓값이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. → 입력값 〉 ["OXXO", "XSXO", "XXXX"], ["E 1", "S 1"] → 기댓값 〉 [1, 1] → 실제값 > [1, 2] 젠장, 어디가 틀렸나 보니 E1을 수행할 때 장애물을 판단하지 못 하고 있었음. tmp.substring(작은idx, 큰idx) 로 검사했는데, 이 때 substring 이 인덱스 매개변수1 ~ 매개변수2-1 만큼 자른다는 걸 잊었다. 이걸 수정하고 나서 통과했다. 고맙습니다, 반례마스터님… 통과 코드는 답안란에.
▶ 오답코드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String[] park, String[] routes) {
int[] answer = new int[2]; // (세로좌표, 가로좌표) 리턴값
int maxH = park.length-1; // 최대 높이(세로)
int maxW = park[0].length()-1; // 최대 너비(가로)
// 시작포인트 체크
for(int i = 0; i <= maxH; i++){
if(park[i].contains("S")){
answer[0] = i;
answer[1] = park[i].indexOf("S");
}
}
for(String r : routes){
// 방향-step 의 배열화
String[] rArr = r.split(" ");
int step = Integer.valueOf(rArr[1]);
// 북/서는 음의 방향
if("N".equals(rArr[0]) || "W".equals(rArr[0])) step *= -1;
// E동W서 : 가로 좌표
if("E".equals(rArr[0]) || "W".equals(rArr[0])){
// 맵을 벗어나는지 체크
if(answer[1] + step > maxW || answer[1] + step < 0) continue;
// 경로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체크
int idx1 = step < 0? answer[1] + step : answer[1];
int idx2 = step < 0? answer[1] : answer[1] + step;
String tmp = park[answer[0]]; // 현재 포인트의 row
if(tmp.substring(idx1, idx2).indexOf("X") > -1) continue;
answer[1] += step;
// S남N북 : 세로좌표
}else{
// 맵을 벗어나는지 체크
if(answer[0] + step > maxH || answer[0] + step < 0) continue;
// 경로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체크
int idx1 = step < 0? answer[0] + step : answer[0];
int idx2 = step < 0? answer[0] : answer[0] + step;
boolean contX = false;
for(int i = idx1; i <= idx2; i++){
String tmp = park[i];
if('X' == tmp.charAt(answer[1])) {
contX = true;
break;
}
}
if(!contX) answer[0] += step;
}
}
return answer;
}
}
2. 다른 사람의 답안도 보았는데, 다들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풀었다. 코드가 너무 길어진 것 같아서 좀 찝찝했는데 문제가 문제이다보니 다들 길게 풀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아서 조금 안심이랄까…^^ 그 중 내가 모르는 뭔가 신기한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하기에 기재해두었고, 그 외에도 방법이 다양했으니 참고.
🎆답안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String[] park, String[] routes) {
int[] answer = new int[2]; // (세로좌표, 가로좌표) 리턴값
int maxH = park.length-1; // 최대 높이(세로)
int maxW = park[0].length()-1; // 최대 너비(가로)
// 시작포인트 체크
for(int i = 0; i <= maxH; i++){
if(park[i].contains("S")){
answer[0] = i;
answer[1] = park[i].indexOf("S");
}
}
for(String r : routes){
// 방향-step 의 배열화
String[] rArr = r.split(" ");
int step = Integer.valueOf(rArr[1]);
// 북/서는 음의 방향
if("N".equals(rArr[0]) || "W".equals(rArr[0])) step *= -1;
// E동W서 : 가로 좌표
if("E".equals(rArr[0]) || "W".equals(rArr[0])){
// 맵을 벗어나는지 체크
if(answer[1] + step > maxW || answer[1] + step < 0) continue;
// 경로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체크
int idx1 = step < 0? answer[1] + step : answer[1];
int idx2 = step < 0? answer[1] : answer[1] + step;
String tmp = park[answer[0]]; // 현재 포인트의 row
if(tmp.substring(idx1, idx2+1).indexOf("X") > -1) continue;
answer[1] += step;
// S남N북 : 세로좌표
}else{
// 맵을 벗어나는지 체크
if(answer[0] + step > maxH || answer[0] + step < 0) continue;
// 경로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체크
int idx1 = step < 0? answer[0] + step : answer[0];
int idx2 = step < 0? answer[0] : answer[0] + step;
boolean contX = false;
for(int i = idx1; i <= idx2; i++){
String tmp = park[i];
if('X' == tmp.charAt(answer[1])) {
contX = true;
break;
}
}
if(!contX) answer[0] += step;
}
}
return answer;
}
}
👀다른 사람의 답안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String[] park, String[] routes) {
Cord cur = new Cord(0,0);
A : for(int i=0; i<park.length; i++) {
String str = park[i];
for(int j=0; j<str.length(); j++) {
if(park[i].charAt(j)=='S') {
cur = new Cord(i, j);
break A;
}
}
}
B : for(int i=0; i<routes.length; i++) {
char d = routes[i].charAt(0);
int n = Integer.parseInt(routes[i].split(" ")[1]);
if(d=='E') {
if(cur.y+n>=park[0].length()) continue;
for(int j=1; j<=n; j++) {
if(park[cur.x].charAt(cur.y+j)=='X') continue B;
}
cur = new Cord(cur.x, cur.y+n);
} else if(d=='W') {
if(cur.y-n<0) continue;
for(int j=1; j<=n; j++) {
if(park[cur.x].charAt(cur.y-j)=='X') continue B;
}
cur = new Cord(cur.x, cur.y-n);
} else if(d=='S') {
if(cur.x+n>=park.length) continue;
for(int j=1; j<=n; j++) {
if(park[cur.x+j].charAt(cur.y)=='X') continue B;
}
cur = new Cord(cur.x+n, cur.y);
} else {
if(cur.x-n<0) continue;
for(int j=1; j<=n; j++) {
if(park[cur.x-j].charAt(cur.y)=='X') continue B;
}
cur = new Cord(cur.x-n, cur.y);
}
}
int[] answer = {cur.x, cur.y};
return answer;
}
public class Cord {
int x, y;
Cord(int x, int y) {
this.x = x;
this.y = y;
}
}
}
🤖 챗지의 분석
**A:**는 레이블(label)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. Java에서는 레이블을 사용하여 반복문이나 switch 문 등의 블록에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. 이 레이블을 사용하면 특정한 위치로 프로그램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**break A;**는 레이블 A로 표시된 반복문을 빠져나가도록 합니다. 즉, 위의 코드에서는 내부 반복문이 아닌 외부 반복문을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습니다.
레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복잡한 제어 구조를 가진 코드에서 특정한 위치로 바로 이동해야 할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레이블을 남용하면 코드를 이해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제어 흐름을 따르는 것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레이블을 사용하여 가장 외부의 첫 번째 for 루프를 표시하고, 그 루프에서 break 문을 사용하면 해당 레이블이 표시된 가장 외부의 루프를 빠져나가게 됩니다. 이 경우에는 모든 중첩된 루프가 종료됩니다.
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:
A: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 B: for (int j = 0; j < 5; j++) { C: for (int k = 0; k < 5; k++) { D: for (int l = 0; l < 5; l++) { E: for (int m = 0; m < 5; m++) { if (someCondition) { break A; } } } } } }
여기서 **break A;**가 실행되면 레이블 A가 표시된 가장 외부의 첫 번째 for 루프를 빠져나가게 됩니다. 따라서 모든 중첩된 for 루프가 종료되고, 해당 코드 블록의 실행이 중지됩니다.
📈Submissions
🔗링크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'코딩테스트 >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[Lv.1][PCCE 기출문제] 10번 / 데이터 분석 (2) | 2024.03.23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[Lv.1][PCCE 기출문제] 9번 / 이웃한 칸 (1) | 2024.03.22 |
[프로그래머스][Lv.1]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(1) | 2024.03.21 |
[프로그래머스/Lv.1][1차]다트 게임 (0) | 2024.03.21 |
[프로그래머스/Lv.1]바탕화면 정리 (0) | 2024.03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