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테스트/프로그래머스Programmers
[프로그래머스][Lv.2][JAVA]귤 고르기
빔o0O
2024. 7. 6. 14:28
문제
경화는 과수원에서 귤을 수확했습니다. 경화는 수확한 귤 중 'k'개를 골라 상자 하나에 담아 판매하려고 합니다. 그런데 수확한 귤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보기에 좋지 않다고 생각한 경화는 귤을 크기별로 분류했을 때 서로 다른 종류의 수를 최소화하고 싶습니다.
예를 들어, 경화가 수확한 귤 8개의 크기가 [1, 3, 2, 5, 4, 5, 2, 3] 이라고 합시다. 경화가 귤 6개를 판매하고 싶다면, 크기가 1, 4인 귤을 제외한 여섯 개의 귤을 상자에 담으면, 귤의 크기의 종류가 2, 3, 5로 총 3가지가 되며 이때가 서로 다른 종류가 최소일 때입니다.
경화가 한 상자에 담으려는 귤의 개수 k와 귤의 크기를 담은 배열 tangerine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경화가 귤 k개를 고를 때 크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 k ≤ tangerine의 길이 ≤ 100,000
- 1 ≤ tangerine의 원소 ≤ 10,000,000
입출력 예
입출력 예 #1
- 본문에서 설명한 예시입니다.
입출력 예 #2
- 경화는 크기가 2인 귤 2개와 3인 귤 2개 또는 2인 귤 2개와 5인 귤 2개 또는 3인 귤 2개와 5인 귤 2개로 귤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. 이때의 크기 종류는 2가지로 이 값이 최소가 됩니다.
입출력 예 #3
- 경화는 크기가 1인 귤 2개를 판매하거나 2인 귤 2개를 판매할 수 있습니다. 이때의 크기 종류는 1가지로, 이 값이 최소가 됩니다.
분석
- 전체 귤 중 k개의 귤을 골랐을 때, 골라진 귤들의 크기 종류의 개수가 가장 작은 값을 return.
- 전체 귤 중 각 크기별로 귤이 몇 개인지를 분류하고
- 필요한 귤 개수를 충족하는 귤 종류를 고르면 될 듯.
- 종류별 귤 개수를 개수 내림차순으로 List로 넣어버리고
- List의 요소를 차례로 꺼내와 필요한 개수 k 에서 빼고 그 값이 0 이하가 되면 몇 번을 뺐는지(answer) return.
피드백
- 통과는 했으나 테스트에서 시간이 오래 걸린 건 46ms 정도 걸린 게 있어서, 시간 효율에 있어선 많이 떨어지는 코드인 것 같다. 하긴 사용한 메서드가 많고 for를 여러 번 사용해서 그럴 거라고 예상은 했다...
-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고 더 배웁시다.
-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니, 기본적인 발상은 다들 비슷한 것 같다. 그런데 그걸 어떻게 코드로 풀어내느냐의 디테일은 조금씩 다른데, 그 부분이 재밌다.
답안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k, int[] tangerine) {
int answer = 0;
Map<Integer,Integer> sizeMap = new HashMap();
List<Integer> cntList = new ArrayList();
// 크기-개수를 key-value로 가지는 map 완성
for(int tan : tangerine) {
sizeMap.put(tan, sizeMap.getOrDefault(tan, 0)+1);
}
// entrySet을 사용한 순회
for (Map.Entry<Integer, Integer> entry : sizeMap.entrySet()) {
Integer key = entry.getKey();
Integer value = entry.getValue();
cntList.add(value);
}
// 정렬
Collections.sort(cntList, Collections.reverseOrder());;
for(int cnt : cntList) {
k -= cnt;
answer++;
if(k <= 0) break;
}
return answer;
}
}
다른 사람의 답안
/*
나와 유사한 방법인 것 같다.
1. map으로 종류별 개수를 구하고
2. 개수를 list화 한 후 정렬하고
3. 정렬한 list의 요소를 차례로 k에서 제하여
4. k가 0 이하가 되면 return.
=> 다만 List를 생성할 때 생성자에거 map.keySet() 이라는 매개변수를 주어서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배웠음.
=> 람다식으로 정렬한 부분도 나와 다르고.
*/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k, int[] tangerine) {
int answer = 0;
HashMap<Integer,Integer> map =new HashMap<>();
for (int t : tangerine) {
map.put(t, map.getOrDefault(t, 0) + 1);
}
List<Integer> list = new ArrayList<>(map.keySet());
list.sort((o1, o2) -> map.get(o2)-map.get(o1));
for(Integer key:list){
k -=map.get(key);
answer++;
if(k<=0){
break;
}
}
return answer;
}
}
🔗링크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